자유롭게 글을 올리시고 이야기하는 공간입니다. 경어체를 사용해 주시길 바라며, 자유로운 만큼 더욱 더 예절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자게의 성격에 맞지 않거나, 광고성글, 타인에게 거부감을 주는 글은 임의 삭제/이동 조치 합니다.

출석부규정;출사코리아 회원은 누구나 작성 가능하며, 05;00 이후에 작성해 주시고 그 이전에 작성한 글은 통보없이 임의삭제 하니 참고 하여 올리시기 바랍니다.



생체시계의 비밀, 미분방정식이 해결했다

profile

  흐르는  물처럼

  스치는  바람처럼.............살고 싶습니다.

  

http://www.jjphoto.co.kr

 

 

http://blog.daum.net/donglim1105 

http://blog.naver.com/donglim1105

 

이름 :
id: 스치는바람/東林스치는바람/東林
제목 :
생체시계의 비밀, 미분방정식이 해결했다
조회 수 :
658
등록일 :
2020.12.18.10:35:30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았는데도 사람들은 날이 밝으면 잠에서 깨고, 어두워지면 잠을 잔다. 마치 사람의 몸속에 시계가 들어있는 것처럼 말이다.

이와 같이 규칙적인 수면 주기가 유지되는 이유는 생체리듬에 관여하는 멜라토닌(melatonin) 때문이다. 보통 밤 9시 경에 분비되기 시작해, 아침 7시쯤에 멈추는 이 호르몬 때문에 사람들은 매일 일정한 시간에 잠을 자고 기상하게 되는 것이다.

잠뿐만이 아니다. 위장에는 소화를 돕는 효소가 존재하는데, 이 효소가 배출되는 시점도 시계처럼 정확하다. 바로 아침과 점심, 그리고 저녁 식사를 앞두고 조금씩 배출되기 시작한다. 밥을 먹고 난 다음에 효소가 나오면 소화를 제대로 시킬 수 없기 때문에, 식사를 할 때쯤이 되면 우리 몸이 미리 음식을 소화시킬 효소를 준비해 놓고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람의 몸은 24시간을 주기로 일정하게 움직이는 신체리듬을 갖고 있는데, 이를 ‘생체시계(biological clock)’라 부른다. 이 시계는 사람의 신체가 하루 종일 누워 있거나 어둠속에 머물러 있는 등 평소와 다른 상태가 되더라도, 예전의 주기적으로 움직이던 상태를 기억해 때가 되면 신체 상태를 변하도록 만들어 준다.

생체시계를 눈으로 확인할 수는 없지만, 장시간 비행기를 타고 외국으로 갔을 때 겪게 되는 ‘시차’를 통해 우리는 생체시계에 대한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시차로 고생하는 까닭은 우리 몸의 현재 시각이 언제인지를 알려주는 ‘생체시계’와 ‘현지의 시각’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 생체시계가 중요한 이유는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

생체시계가 중요한 이유는 사람의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거나 끼니를 제 때 챙기지 못하면 평소의 리듬을 잃어버리면서 생체시계가 교란을 일으킨다. 물론 하루나 이틀 정도는 평소와 다른 리듬을 보여도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사람의 신체는 그렇게 약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리듬이 깨지는 경우가 만성적으로 이어진다면 상황이 달라진다. 생체시계 교란이 만성화되면 그동안 균형을 이루던 신체 조화가 깨지면서 각종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비교적 규칙적인 수면과 식사 시간이 가능했던 과거와는 달리 요즘은 24시간 깨어있는 시대다. 밤에도 대낮같이 환한 조명시설 덕분에 교대근무나 야간근무를 하는 사람이 많다. 따라서 만성적인 생체시계 교란도 높아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잠을 자거나, 일을 하는데 있어 신체에 가장 적합한 시간대가 있을까? 사람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평균적으로 오전 10시에서 오후 2시 사이에는 집중력과 논리적 추론 능력이 극대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시간대다. 따라서 공부나 중요한 업무를 하는데 있어 적합한 시간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반면에 오후 6시에서 8시 사이의 초저녁은 심폐기능이 우수하고, 근력이나 유연성이 높아지는 시간대다. 따라서 걷기나 달리기 등 운동을 하기에 가장 좋은 시간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24시간 돌아가는 현대 사회에서 모든 사람이 낮에만 일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런 사람들의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낮에 잠을 자야 하는 사람은 침실환경을 바꿔 자신의 신체를 속여야한다”고 강조하며 “검은 커튼을 달거나 안대를 착용하는 등 비록 낮이지만 밤처럼 환경을 조성해야한다”라고 조언한다.

■ 수학이 생물학 분야 난제 해결에 기여해

체내에 생체시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지난 1954년 무렵이다. 생체시계가 당시 과학자들의 주목을 끈 이유는 바로 환경이나 온도와는 상관없이 일정한 리듬을 갖고 있다는 점이었다. 보통 온도가 오르게 되면 다른 생체반응은 빨라지는 데 반해, 생체시계의 반응은 이와는 대조적인 현상이었기 때문이다.

그 후 생체시계로 인한 신체 리듬이 어떻게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전 세계의 과학자들은 생체시계 원리를 밝히려 노력했다. 하지만 최근까지 60여 년간 베일에 가려져 있었다.

그러던 생체시계의 원리가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KAIST 수리과학과의 김재경 교수가 미분방정식을 이용한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생체시계의 속도를 유지하는 원리를 발견한 것.



KAIST 연구진은 이 같은 이유를 ‘피리어드2(Period2)’라는 핵심 단백질에서 찾았다.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피리어드2 단백질에 있는 ‘인산화 스위치(phosphoryltion switch)’가 피리어드2의 분해속도를 천천히 일어나게 함으로써, 비록 온도가 올라가도 생체시계가 일정한 속도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체온이 오르면 생체시계의 분침도 다른 생체 반응처럼 빨리 가려고 하는 것은 똑같다”라고 전제하며 “이렇게 빨리 가려고 하는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것이 바로 피리어드2라는 단백질”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체온이 올랐을 때, 피리어드2 단백질이 생체시계의 태엽을 풀어서 빨라지는 분침을 천천히 가도록 늦추기 때문에 일정 속도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체온이 떨어져 생체시계의 분침이 느리게 가면, 이 단백질이 태엽을 감아 빨리 가도록 조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KAIST 연구진은 이 같은 모델링 가설을 토대로 듀크-싱가폴 국립 의과대학의 데이비드 벌쉽(David Virshup) 교수와 공동 실험을 진행했고, 그 결과가 최근 저명 학술지인 ‘몰리큘라 셀(Molecular Cell)’에 게재돼 주목을 끌고 있다.

김 교수는 “앞으로 피리어드2 단백질을 조절하는 약물을 개발하면, 생체시계의 시간을 인위적으로 늦추거나 빠르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어렵고 복잡하게만 생각했던 수학으로 생물학의 난제를 해결한 사례로, 앞으로도 많은 문제를 수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글 : 김준래 과학칼럼니스트



profile
2020.12.18
10:52:14

좋은 글 감사합니다.-

profile
2020.12.18
12:00:09

이런데까지 관심 있으시군요^^

profile
2020.12.18
12:05:20

요즘 공부 마이 하니더 ㅎㅎ18.gif

profile
2020.12.18
12:10:12

캬라맬을--많 묵으면--

 멜라토닌(melatonin) 이--활발해진다네유

그러다가---기냥--한세월 잠만 잔대유---ㅋ ㅋ ㅋ

b897610829a137b272e16409f92e57e6.gif

 


첨부 :
b897610829a137b272e16409f92e57e6.gif [File Size:13.6KB/Download0]
profile
2020.12.18
13:39:25

요즘 공부 마이 하니더 (2)

profile
2020.12.18
16:10:34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20.12.18
17:56:17

열공합니다....

profile
2020.12.18
20:23:56
멋진정보 고맙습니다~
profile
2020.12.18
22:35:04

저는 읽는것도 어려워요 ㅎ

profile
2020.12.18
23:07:33

저는 청개구리 처럼 낮에는 잠이 잘오고

밤에는 말똥말똥 잠이 안와요

 생체리듬이 깨져서 여기저기 아픈가봐요

profile
2020.12.19
07:03:29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20.12.19
22:21:0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id: 엔죠엔죠 [공지] 스마트폰 페이지에서 파일첨부가 보이지 않을때 - (안드로이드 계열 ... [20] file 2013-08-22 226498
공지 id: 엔죠엔죠 ★ 스마트한 출코 모바일 페이지 (스마트폰에서 사진올리는 방법!) [58] file 2011-04-26 240736
공지 id: ㅊ ㅓ ㄹ ㅣ/손상철ㅊ ㅓ ㄹ ㅣ/손상철 카메라로 찍은 사진올리는 방법~(동영상) [70] file 2010-07-13 238970
공지 id: 엔죠엔죠 윈도우7 ie9에서 파일첨부가 되지 않을때 - 기타 잦은 질의응답 [10] file 2010-06-15 242822
공지 id: ㅊ ㅓㄹ ㅣ/손상철ㅊ ㅓㄹ ㅣ/손상철 추상 갤러리 개설했습니다. [27] 2020-07-06 99094
90401 johnsonri Tes 兄, 요즘 세상이 왜이래 ~ ~ ~??? [15] file 2020-12-19 751
90400 임프로 만설 [19] file 2020-12-19 632
90399 차사랑777(최일연) 2020년 12월 19일 토요일 출석부 [57] file 2020-12-19 547
90398 hayannala 뒷북... [16] file 2020-12-19 662
90397 풀잎향기 촥... [14] 2020-12-18 662
90396 마운틴S 골이 뱅뱅돌아요 [17] file 2020-12-18 673
90395 id: ㅊ ㅓㄹ ㅣ/손상철ㅊ ㅓㄹ ㅣ/손상철 저만 그런가요? [31] file 2020-12-18 983
90394 투발로 자연의 오묘한 신비 [21] file 2020-12-18 875
90393 흑룡 청해진 장도.... [19] file 2020-12-18 895
90392 일죽 잿빛 개구리매 암컷 [17] file 2020-12-18 703
90391 알콜짱♥이종훈 2014년4월1일 앨범 뒤지다...... [14] file 2020-12-18 784
90390 id: 태권V(權宗垣)태권V(權宗垣) 보이시나요^^ [24] file 2020-12-18 918
90389 아이스크림/한 ㄱ ㅣ 창 일몰의 메타세콰이어 [23] file 2020-12-18 1027
90388 (홀스타인)박무길 제우스님---잔소리가 갈수록--느른이가 되가는 모양이다 [30] file 2020-12-18 943
90387 id: 스치는바람/東林스치는바람/東林 영주 부석사 [15] file 2020-12-18 859
» id: 스치는바람/東林스치는바람/東林 생체시계의 비밀, 미분방정식이 해결했다 [12] 2020-12-18 658
90385 들길/이우희 서산 팔봉산에 다녀 왔습니다 [19] file 2020-12-18 796
90384 흑룡 곶감이 익어가는..... [17] file 2020-12-18 799
90383 id: 송원/조웅제송원/조웅제 완전 고립 구조요청바랍니다. [31] file 2020-12-18 1003
90382 임프로 설국속으로 [32] file 2020-12-18 957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