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및 카메라 관련 강좌를 올리기 위한 공간입니다. 링크나 펌글은 업로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름 :
LimCD
제목 :
Sony Vegas Pro에서 영화 화면 비율(2.35:1) 만들기
조회 수 :
13935
추천 수 :
1 / 0
등록일 :
2010.12.08.22:57:33

Sony Vegas Pro에서 영화 화면 비율(2.35:1) 만들기
                                                                                                                                      글 : 임 채 두
                                                                              그림이 포함된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limsaid/110098673799
▣ 차 례
1. 영화 화면 비율 (2.35:1)          4. 파일 가져오기
2. 촬영시 2.35:1 구도 잡기         5. 베가스에서 편집
3. 베가스 작업환경 설정            6. 인코딩 옵션 및 출력

1. 영화 화면 비율 (2.35:1)

movie990.jpg

                                             2.35:1 화면 비율로
                           영화와 같은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 화면 비율은 화면의 가로 대 세로의 비율 즉 높이에 대한 너비의 크기를 말합니다,
- 초기 영화는 에디슨(Thomas Edison)의 키네토그래프(kinetograph)인 4:3 (1.33:1) 화면으로서 8mm, 16mm, 35mm 영화가 이를 따르고 있었으며 표준 화면이라 합니다.
- 그후 스테레오와 입체음향이 나오면서 극장에서 음향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가로 비율이 커지기 시작 했으며 비스타 비전(Vista Vision)은 1.85:1, 시네마스코프는 2.55:1와 2.35:1, 울트라 파나비전(ultra panavision)은 2.7:1의 화면 비율을 사용 합니다.

- TV도 영화의 영향을 받아 4:3으로 출발하여 지금은 와이드 TV(1.85:1, 16:9)가 보급되고 있습니다.
- 최근 출시되는 무비 카메라는 영화용을 제외하면 16:9 화면까지 지원 하지만 촬영할 때 2.35:1 구도로 촬영하고 2.35:1 화면 비율로 편집하면 영화와 같은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 이 페이지에서는 Sony Vegas Pro를 사용하여 영화 화면과 같이 더 와이드한 영상 제작 방법을 소개 합니다.

2. 촬영시 2.35:1 구도 잡기
- 일반적으로 카메라와 캠코더의 LCD 모니터는 3:2 또는 16:9 화면 비율을 사용 합니다.
- 따라서 촬영할 때부터 2.35:1 화면으로 구도를 구성하지 않으면 화면 일부가 잘려 나갈 수 있습니다.
- 촬영시 부터 2.35:1 구도를 유지하는 가장 편리한 방법은 LCD 보호 필름에 2.35:1 구도를 유성펜으로 표시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2.35:1 구도 계산 방법
    화면 가로 ① = LCD 액정 화면 가로 길이 / 화면 시야율
    화면 높이 ② = 화면 가로 ① / 2.35

movie980.jpg

 


3. 베가스 작업환경 설정
- 새 프로젝트를 만듭니다.
- 프로젝트 설정 창에서 카메라 또는 캠코더의 동영상 형식에 맞는 프리셋을 선택 합니다.
- Frame Size의 세로 높이를 '816'으로 변경 합니다. (1920 / 2.35 = 817 ( 8의 배수 816)
- 렌더링 환경을 최고 화질로 설정 합니다.
- 5.1ch 오디오로 출력 하러면 Master 버스를 5.1로 변경하고 셈플 레이트 등을 변경합니다.
- 설정이 끝나면 시작 할 때 항시 이 설정으로 시작하도록 체크하고 종료 합니다.
- 베가스 2.35:1 편집 창입니다.

4. 파일 가져오기
- 'Explorer' 창을 클릭하여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동영상, 오디오, 사진 파일이 저장된 폴더를 찾아 해당 파일을 재생 순서에 따라 타임라인으로 드래그 합니다.

5. 베가스에서 편집
- 베가스는 파일을 임포트 할 때 모니터의 가로 또는 세로에 맞게 임포트 하므로 클립 마다 사용자가 설정 해 주어야 합니다.
- 각 클립의 우측 'Event Pan/Crop'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 창을 엽니다.
- 설정 창에서 'Height' 값을 816으로 변경하면 모니터에 꽉 찬 영상이 만들어 집니다.
- 설정 창 그림을 클릭하여 상하로 드래그하여 구도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 사진과 같이 1920x1080 사이즈를 초과하는 경우는 'Width, Height' 값을 변경하여 필요한 만큼만 화면에 나타나게 할 수 있고,
- 그림을 드래그하여 구도를 변경 할 수 있습니다.
- 이 페이지에서는 다른 Effect 와 Transition은 다루지 않기로 합니다.

6. 인코딩 옵션 및 출력
- 편집이 끝나면 Blu-ray, 인터넷 게시, wmv 포멧등 사용하려는 용도에 맞게 프리셋을 선택하여 출력 합니다.
- 여기에서는 PC 재생 또는 인터넷에 많이 사용하는 wmv 포멧으로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 합니다.
-' File -> Render As..' 메뉴를 선택 합니다.
- 출력 파일 이름을 지정하고 WMV 파일의 템프릿을 선택 합니다.
- 'Custom'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자가 세부 설정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
- 설정이 끝나면 'Save' 버튼으로 인코딩을 시작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45 s2용작가 [안드로이드 어플소개] 일출 사진 촬영의 동반자, Sundroid [18] file 2012-02-16 13377 11
44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사진강좌] 조리개와 셔속의 관계 대한 이해 [26] file 2011-03-18 13390 14
43 雨野/韓玄雨 raw 파일과 후보정 - 입문 안내 [15] 2012-04-17 13595 7
» LimCD Sony Vegas Pro에서 영화 화면 비율(2.35:1) 만들기 file 2010-12-08 13935 1
41 雨野/韓玄雨 Eric Kim 의 사진 강좌 -글이 깁니다. [36] 2013-02-19 14076 10
40 darkrain/한현우 인물 사진의 포인트 [33] 2010-11-20 14088 23
39 浩野 풀프레임? FF? 크롭바디? 명칭에 따른 렌즈의 구분 [3] 2008-11-29 14139 21
38 浩野 화이트밸런스와 계조의 관계 [3] file 2008-06-18 14303 109
37 id: ㅊ ㅓ ㄹ ㅣ/손상철ㅊ ㅓ ㄹ ㅣ/손상철 모니터 조절 [24] file 2013-12-18 14390 6
36 최홍종 작품사진이란? 좋은 사진은 어떤 사진인가? [5] file 2008-12-18 14415 17
35 하치 감동을 주는 사진들... [5] 2009-04-06 14833 10
34 레인즈 캐논카메라 접사사진 강좌 1편 @ 케논으로 접사하기 [8] file 2014-05-06 14977 9
33 석구/김남표 사진관리 프로그램 ACDSee Pro 사용법 [6] 2014-09-07 16127 2
32 id: 엠씨우퍼/차영빈엠씨우퍼/차영빈 풍경사진의 핵심. "수평 잡기" [5] 2008-12-19 16199 21
31 id: ㅊ  ㅓ ㄹ ㅣ/손상철ㅊ ㅓ ㄹ ㅣ/손상철 ccd와 cmos의 차이점 [5] 2008-12-29 16334 19
30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초보강좌] 가창오리 군무 촬영 요령 [78] file 2013-02-17 16452 59
29 율 [律] 초접사 (Super Macro) - 작은 것이 더 아름답다 . [11] file 2010-02-04 16608 8
28 浩野 입문자를 위한 조리개의 설명 [17] file 2007-12-24 16669 150
27 꿈샘/夢泉 DSLR과 접사- 초보님들을 위한 안내 [56] 2011-05-31 16916 32
26 김기덕 AF및 MF 촬영에 대하여 [25] 2011-02-17 16920 19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