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및 카메라 관련 강좌를 올리기 위한 공간입니다. 링크나 펌글은 업로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멀티초점을 이용한 stack으로 합성

profile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HOME : http://www.finenature.com          

                                                                    E-Mail : limhy08@naver.com

                                                              

                                                                              저서 : 풍경사진과 기상

 

                                                           010-5407-9886




이름 :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제목 :
멀티초점을 이용한 stack으로 합성
조회 수 :
12504
추천 수 :
21 / 0
등록일 :
2015.05.04.07:38:11

hwangmaesan_stack_9144.jpgNIKON CORPORATION | NIKON D4 | 2015:05:01 05:36:10 | Reserved | matrix | Auto W/B | 1.300 s (13/10 s) | F/16.0 | 0.00 EV | ISO-100 | 50.00mm | 35mm equiv 50mm | Flash-No

 

 

위 사진은 근경(활짝 핀 철쭉꽃), 중경(철쭉의 뒷쪽 꽃봉오리), 원경(뒤의 산)에 초점을 맞춘 사진 3장을 찍어

스크립트 ㅡ 스택으로 불러오기 ㅡ 레이어 자동혼합하여 합성한 것입니다.

 

이렇게 찍어야 하는 이유는 뭘까?

예를 들어 니콘 D4의 경우 16mm 어안은 과초점거리가 55cm로 초점을 55cm 지점에 맞추면

약 27cm 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는 사진이 되어(뭔말인지 모르면 강좌게시판의 과초점거리 참조) 한방에 해결이 가능합니다.

이 처럼 초광각렌즈일수록 과초점거리가 짧아 초점범위가 넓고 근~원경을 모두 선명하게 찍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초광각으로 찍으면 원근감이 강조되어 뒷쪽 운해가 너무 멀고 작게 보이겠지요.

운해를 좀 더 크게 나타내면서 구도를 잡기 위해서 50mm렌즈를 선택했습니다.

니콘 AF-S 50mm F1.4는 최소조리개가 16으로 최대한 조인다해도

과초점거리는 5m26cm에 달해서 한장으로 찍으면 근거리 초점은 2m69cm에 맞게 되어

앞쪽의 꽃은 초점이 맞지 않는 사진이 됩니다.

 

그럼 24-70 줌렌즈로 50mm에서 F22로 조이면 되지 않을까?

그래도 과초점거리는 약 380cm로 190cm부터 무한대까지 초점이 맞지만 1m 내외의 가까운 꽃은 초점이 맞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앞의 꽃에 초점을 맞추면 뒷쪽 운해는 흐려지게 되지요.

 

여기서..... 뒷쪽을 아웃포커싱하면 더 좋던데요?  이런 사람 꼭 있습니다.

그런 사람은 그렇게 찍으면 됩니다. 앞,뒤 모두 초점이 맞는 사진을 찍기 위한 방법만을 이야기 하는거니까...

 

그러면 왜 앞, 뒤 초점이 모두 맞는 사진을 찍을까?

이 사진의 예에서 보듯 뒷쪽의 운해가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운해도 없고 큰 의미도 없는 배경이라면 굳이 어렵사리 멀티초점으로 촬영할 이유는 없습니다.

사진의 구성요소 중 앞과 뒤의 풍경이 모두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며

초광각렌즈를 사용하여 조리개를 조이고 초점거리 범위에 구성요소가 모두 들어온다면 좋지만

과초점거리가 긴 렌즈를 사용하여 앞, 뒤 모두 초점을 맞춰여겠다고 판단될 때 이 방법을 택하는 것이죠.

즉 멀티 초점으로 STACK합성을 하는 방법을 아는게 중요한 것이 아니고

어떤 경우에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지를 생각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스택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주세요. 이런 사람도 꼭 있지요.

대충 사진만 보고 필요한 것만 힐끗 보고 가면서 출코에 어떤 정보들이 있는지 모르는 사람.

강좌란에 필요한 것들은 다 있습니다.

 

여러장을 찍어서 합성하는 방법 중 많이 이용하는 것이 파노라마와 stack합성입니다.

파노라마는 상하, 좌우로 여러 장을 이어 붙이는 것이고

stack으로 합성은 벽돌 쌓듯 여러장을 겹쳐서 합성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
2015.05.04
07:47:28

참 유익한 강좌입니다.

profile
2015.05.04
07:51:56

절대적 필요한 강좌입니다...

profile
2015.05.04
08:18:44

체계적인 이론 강의 감사합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

profile
2015.05.04
08:19:04

고급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5.05.04
08:24:27

청장님...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profile
2015.05.04
08:37:44

정보 감사드립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profile
2015.05.04
08:50:05

고맙습니다

profile
2015.05.04
09:03:27

춘강 선배님의 멋진 설명 고맙습니다...

profile
2015.05.04
09:16:35
멀디 다초점에 관해 아무리 찾아봐도 강좌를 얻지 못하였습니다 마침내 출코에서 알게되어 무척 감사드립니다
profile
2015.05.04
09:29:36

정말 고급정보 입니다.

새벽바람님 감사합니다.제 홈피에 옮겨두고 공부해도 좋을런지요,,

profile
2015.05.04
09:33:51

괜찮습니다.

그러나 한가지 꼭 알아두셔야 할 것은

이런 경우 출처(어디서, 누가 쓴 글)를 반드시 밝혀야 합니다.

profile
2015.05.04
09:30:23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5.05.04
09:44:00

항상 감사합니다  __

profile
2015.05.04
10:08:59

고급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5.05.04
10:26:13

정보 감사합니다 ~

profile
2015.05.04
10:33:21

 배우는 사람의 입장에서 항시 그런부분이 어려웠는데 좋은 정보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profile
2015.05.04
10:49:33

나눔공유 존경합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2015.05.04
12:08:47

좋은강좌 감사합니다.

profile
2015.05.04
12:30:51

왜 그렇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논리를 깨닿을 수 있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5.05.04
12:45:08

역시 바람 패밀리 이십니다~

바람들  모두 모아 일박이일 워크샵  함 하입시다. ㅋㅋ

profile
2015.05.04
13:40:16

대전에서 함 ~

강의함 하시지요 ,,,

얼굴들도 함 볼겸해서요 ㅎㅎ

유익한 정보 입니다 ,,,

profile
2015.05.04
15:09:14

좋은 정보 (강좌)  고맙습니다.

언젠가 외국사이트에서 본 듯한 멀티촛점( 해석을 제대로 못해서)  내용인것 같은데, 

시원하게 설명해주셨군요.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

profile
2015.05.05
08:01:51

오늘 바로 연습해 보아야겠습니다.

감사드립니다.

profile
2015.05.15
17:21:40

강의 감사드립니다.........

noprofile
2015.06.09
16:31:36

고민만하고 실현하기에 게을럿던 시간이 생각납니다. 반성합니다.

귀한 정보를 주시니 부지런하게 연습하고 연습하여 정보 활용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profile
2015.07.20
11:29:30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5.08.11
12:25:49

귀한 강좌 감사합니다.

눈으로 그냥 힐끔 쳐다보고가는 내용이 안되게

몇번을 정독을 하고 머리속에 각인시켜 현장에서 실행해 보겠습니다.

profile
2015.09.12
17:08:21

아하, 그렇군요. 오늘도 초보는 배웁니다.

profile
2015.10.07
19:37:35
너무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그동안 선배님들의 사진을 보면서
멀티초점잡는 방법이 정말 궁금했습니다 ᆞ
내일 바로 실습해봐야 겠습니다
profile
2015.11.25
17:57:18

정보 갈사합니다

noprofile
2016.01.06
09:37:3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6.01.15
22:33:15

감사합니다.

noprofile
2016.02.13
03:15:57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6.04.01
11:20:29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noprofile
2016.05.23
21:56:09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noprofile
2016.06.01
11:00:44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6.09.18
11:26:53

정말 감사합니다.

질문하나만 드리겠습니다.  레이어 자동 혼합이라는 것이 어디에 있는지 궁금합니다.

 

profile
2016.11.21
16:03:32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7.02.14
12:11:16

유익한 정보감사합니다

이번봄에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profile
2017.03.09
17:54:50

좋은 정보 꼭해 보겠습니다.

profile
2017.10.25
21:35:24

감사합니다.

profile
2018.06.17
11:00:07

감사합니다.......

noprofile
2018.09.26
16:07:24

귀한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9.01.02
17:10:58

유익한정보 잘보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제목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145 浩野[HOYAH] 각 화소별 최대인화싸이즈 구하는 공식 [3] 2009-04-20 11835 11
144 id: 가고일/민양식가고일/민양식 [♨] 사진을 감상전 모니터를 점검해봅시다 (간단확인) [1] file 2009-04-23 11162 14
143 최홍종 당신은 진실로 사진을 즐기는 사람 맞습니까? [5] file 2009-04-23 9627 14
142 id: 가고일/민양식가고일/민양식 [♨] Photomatix 를 이용한 아주 쉬운 HDR 작업하기 (고수 클릭금지) [17] file 2009-05-15 10497 12
141 浩野[HOYAH] HDR 효과를 더욱 많이 주자! [14] file 2009-05-21 12345 13
140 id: 가고일/민양식가고일/민양식 [♨] 모니터를 새로이 구입하실때 참고하시면 좋을 부분 (패널별 특징추가) [3] 2009-06-16 8801 7
139 하치 Hello! DSLR 총 17강 - 초보 DSLR강좌 [5] 2009-06-27 16976 12
138 id: 가고일/민양식가고일/민양식 [♨] 소중한 DATA 를 안전하게 보관 하기 (RAID-1 권장) [2] 2009-09-23 6833 2
137 산꾼/김연섭 일출 촬영지에서 위치 잡기 [9] file 2009-10-09 11718 7
136 두목/김성호 우리 렌즈가 달라졌어요 (렌즈 외부 청소하기) [7] file 2009-10-20 11541 3
135 우드정/정철재 상고대란? [8] file 2009-11-04 12879 5
134 율 [律] [겨울산행 채비와 운행요령] 겨울산 필수장비 [24] file 2009-12-03 12808 2
133 id: 새벽바람™새벽바람™ 일몰을 제대로 보려면. [10] 2010-01-25 11570 7
132 최홍종 이런 사진 찍기를 권유해 봅니다 [19] file 2010-02-01 13224 10
131 율 [律] 초접사 (Super Macro) - 작은 것이 더 아름답다 . [11] file 2010-02-04 16606 8
130 id: 새벽바람™새벽바람™ 파도 이용한 산수화 그리기(촬영팁) [14] file 2010-02-09 12776 13
129 東邦/서병학 해외 출사여행지에서 일출/일몰 시간과 일출각 알아내는 법 [1] file 2010-03-08 9453 2
128 율 [律] 해빙기 산행에서 유의할 점 [2] file 2010-03-17 4468 3
127 id: 차잎소리/윤창수차잎소리/윤창수 셔속에 따른 빗줄기의 표현 [13] file 2010-04-01 11606 7
126 율 [律] 야생화 특징 살리기(닭/dark님의 글입니다) [22] 2010-04-01 10440 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