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및 카메라 관련 강좌를 올리기 위한 공간입니다. 링크나 펌글은 업로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일몰을 제대로 보려면.

profile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 바랍니다.

                                                                HOME : http://www.finenature.com          

                                                                    E-Mail : limhy08@naver.com

                                                              

                                                                              저서 : 풍경사진과 기상

 

                                                           010-5407-9886




이름 :
id: 새벽바람™새벽바람™
제목 :
일몰을 제대로 보려면.
조회 수 :
11572
추천 수 :
7 / 0
등록일 :
2010.01.25.22:12:01

서해바다를 기준으로 일몰을 제대로 보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꽃지 할미할아비바위를 중심으로 설명 드리나 다른 곳도 이와 다를 바 없습니다.

먼저 기상청 홈페이지를 열어 "날씨영상"의 "기본영상"을 확인합니다.

1264423098_꽃지4.JPG

위와 같은 영상에서 약 250km 해상부터 자기 위치까지 하늘이 맑아야 합니다.

여기서 사실 사진을 찍는 시간에는 165km부터 구름이 없으면 됩니다만 우리나라는 서쪽에서 부터

기상이 변화해 오며 이동하는 시간과 여명까지를 생각해서 더 늘려 잡았습니다.

(왜 165km인지는 아시죠? 사람이 육안으로 수평선을 넘어가는 해를 보려면 계산상 그렇습니다)  

쉽게 생각해서 산동반도 가까이 까지 구름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세요.

그러나 높은 구름은 오히려 노을을 붉게하는 고마운 것이니 반겨야겠죠.

다음은 기상청 홈페이지 우측에 "해달뜨고지는시각"을 클릭하면 "한국천문연구원" 홈페이지가 뜹니다.

다시 오른편에 "해달출몰시각"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뜹니다.

1264423098_일출1_conv.JPG.jpg

여기서 "태양고도방위각계산"을 클릭하고 해당 일자까지만 입력하고 해당 지역(시군단위로 되어 있음)을

선택하고 "보기"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페이지 하단에서 볼 수 있습니다.

1264423098_일몰2.JPG

노란색을 칠한 부분이 일몰 시각 근처의 태양 고도각을 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

시간단위로 나와서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18시 가까이 돼서 고도가 0도가 되는데 이때

방위각이 247도 정도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247도의 방위각으로 적당한 부제 등을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는 장소를 선택하면 됩니다.

1257694705_kotji_1663sgn.jpg

지난해 11월 8일 촬영한 꽃지 일몰입니다.

꽃지에서 할미할아비바위를 중심으로 일몰을 촬영하는 시기는 대략 11월, 1월~3월 사이 입니다.

물론 다른 때도 가능하지만 할미할아비바위를 조화롭게 이용하지 못한다는 뜻이죠.

1264423098_꽃지2_conv.JPG.jpg

12월은 대략 위에 표시한 섬이 방해가 돼서 오메가를 기대하지 못하고 일몰이 싱겁죠.^^

1264423098_꽃지3_conv.JPG.jpg

꽃지 일몰 포인트는 대략 꽃다리 근처와 방파제 위가 됩니다.(이것은 할미할아비바위 가운데로

해가 지는 것을 찍기 위한 장소임)

이 장소들을 옮겨가며 촬영할 수 있는 일몰각은 약 236도 부터 264도 정도 됩니다.

따라서 3월 20일 가까이 되면 섬 사이로 해가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없게 됩니다.

다른 지점에서도 이런 방식으로 검색을 하면 적당한 일몰 포인트와 시기를 선택할 수 있으니

참고하셔서 대작들을 담으시기 바랍니다.

심심해서 끄적여 봤습니다. 틀린 점 있으면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꾸~뻑!
* ㅊ ㅓ ㄹ ㅣ/손상철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0-01-26 09:40)

noprofile
2010.08.05
06:53:13

소중한 정보 감사합니다

noprofile
2010.08.07
10:59:56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사진을 찍으려고 하다보니 이것저것 알아야 될 게 엄청나게 많군요.

앞으로 많은 도움 될 것 같습니다.

profile
2010.08.24
10:27:36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언제다 배울지 걱정입니다. 하지만 화이팅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noprofile
2010.11.27
17:24:20

훌륭하신 정보 유용하게 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rofile
2011.06.09
23:05:41

좋은 정보 감사함니다.

profile
2011.06.15
11:09:40

전직이 과학선생님이셨나요 ㅎㅎㅎ?

하여튼간에 좋습니다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

profile
2011.12.24
17:15:24

소중한정보감사합니다

profile
2012.03.06
23:18:34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noprofile
2013.12.30
16:46:11

그림화일 JPG 이 보이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볼수 있나요

profile
2014.03.13
16:03:34

어려운 수학문제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제목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105 석구/김남표 고품질 파노라마 이미지를 만들기 기초사용법(PTGui Pro 9.2) [11] file 2014-06-27 12269 7
104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기상상식] 물안개 [34] 2010-10-28 12073 27
103 Jose 아이폰으로 내 사진에 GPS정보 넣기 [5] file 2011-10-28 12022 3
102 id: 클라이머 이인표클라이머 이인표 겨울산악출사 준비물 [27] 2011-12-12 11927 9
101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shakeup기법(흔들어 찍기) [36] file 2015-10-26 11881 26
100 浩野[HOYAH] 각 화소별 최대인화싸이즈 구하는 공식 [3] 2009-04-20 11840 11
99 순수 (b) (황차곤) 모자섬 일출촬영 요령(초보필독) [26] file 2015-01-04 11780 5
98 산꾼/김연섭 일출 촬영지에서 위치 잡기 [9] file 2009-10-09 11721 7
97 id: 엔죠엔죠 극적인 풍경을 담으려면 태풍전후를 기다려라. [19] file 2010-08-28 11624 14
96 id: 차잎소리/윤창수차잎소리/윤창수 셔속에 따른 빗줄기의 표현 [13] file 2010-04-01 11610 7
» id: 새벽바람™새벽바람™ 일몰을 제대로 보려면. [10] 2010-01-25 11572 7
94 두목/김성호 우리 렌즈가 달라졌어요 (렌즈 외부 청소하기) [7] file 2009-10-20 11545 3
93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초보자만 참고] 사진을 보는 습관 [96] 2010-09-10 11389 38
92 id: 가고일/민양식가고일/민양식 [♨] 사진을 감상전 모니터를 점검해봅시다 (간단확인) [1] file 2009-04-23 11164 14
91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강좌]출사지 찾아가기 [49] 2011-04-25 11142 11
90 id: ㅊ ㅓ ㄹ ㅣ/손상철ㅊ ㅓ ㄹ ㅣ/손상철 픽쳐스타일이 로우파일에 적용이 되는가~? [24] 2013-01-14 10910 4
89 思而夢 새로운 출사지 [27] 2011-05-25 10906 4
88 id: 가고일/민양식가고일/민양식 [♨] Photomatix 를 이용한 아주 쉬운 HDR 작업하기 (고수 클릭금지) [17] file 2009-05-15 10500 12
87 바우/장종환 디지털 카메라(DSLR)는 왜 탄생되었는가? ^^ [7] 2008-06-28 10462 87
86 율 [律] 야생화 특징 살리기(닭/dark님의 글입니다) [22] 2010-04-01 10442 2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