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및 카메라 관련 강좌를 올리기 위한 공간입니다. 링크나 펌글은 업로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우리 렌즈가 달라졌어요 (렌즈 외부 청소하기)

profile
아직 서명이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이름 :
두목/김성호
제목 :
우리 렌즈가 달라졌어요 (렌즈 외부 청소하기)
조회 수 :
11540
추천 수 :
3 / 0
등록일 :
2009.10.20.08:46:20

dmk_091018_wb02.jpgNIKON CORPORATION | NIKON D200 | 2009:10:18 23:31:44 | Reserved | matrix | Auto W/B | 0.008 s (10/1250 s) | F/5.0 | 0.33 EV | ISO-160 | 24.00mm | 35mm equiv 36mm | Flash-Yes

이 간단한 팁은 여러 렌즈들중에 시그마. 특히 줌링 부분이 이렇게 생겨먹은 렌즈들의 밖을 효과적으로 청소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렌즈 내부야 분해하지 않는다면 일반적인 유저들은 블로어와 극세사로만 청소해도 충분하니 렌즈 외관 청소에 대한 간단한 팁을 적어봅니다.

이 녀석에겐 4년동안 딱 1번 이렇게 청소를 해 줬었는데 어제보니 그동안 참 무심도 했다 싶어서 오랜만에 칼을..아니 칫솔을 꺼내 들었습니다. 자~ 시작해 보죠.

* 준비물: 칫솔.비누.마른 부드러운 수건

1) 못 쓰는 칫솔(새 칫솔이라도 상관없음) 에 물을 살짝~ 묻혀줍니다.     너무 많이 묻히면 나중에 거품이 과하게 나와 렌즈 틈새로 들어갈까봐 그렇습니다.

2) 물기가 살짝 베인 칫솔을 비누위에 살짝 살짝 묻혀줍니다.

3) 렌즈 줌링부분의 결을 따라서 양치질하듯이 치카치카 ~ 시켜줍니다.  비누거품이 나오겠지요. 그러고 나서 잠깐동안 숙성(?) 시킵니다.

4) 부드러운 수건으로 줌링부분의 결을 따라 닦아줍니다.
    (저도 집안일을 될 수 있으면 잘 도우려고 하는 사람입니다만, 세탁은 절대로 제가 안하기 때문에 수건을 걸레처럼 막 쓰는 경우가..ㅋㅋㅋ =3=33 )


위의 과정을 2-3번 조심스레 반복합니다. 반복할때는 앞의 작업이 끝나서 렌즈가 다 마르고 난 뒤에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끝입니다.  
간단하지만 상당히 효과적입니다. 워낙 관리 안했던 렌즈라 그런지 , 청소후 1 M 만 뒤에서 봐도 다른 렌즈 같아 보인다니까요 ^^


PS) 사진속 모델인 시그마 17-70의 경우 펄이 벗겨지는 부위가 정해져 있어서 그 부분의 펄을 아예 다 떼어냈습니다.
      그리고나서 6년전에 샀던 얆은 라인테이프가 서랍에 있길래 재미삼아 발라줬습니다만 이건 좀 아니다 싶네요 ㅋㅋ
       좀 더 굵고 이쁜 테잎으로 한 번 발라줘야 겠습니다.

profile
2010.07.08
14:59:24
칫솔은 거칠지 않나요 제경우에는 필터 부드러운 붓으로 물비누로 해주고 드라이로
말려줍니다
렌즈의 경우 ccd 청소 하는 알콜 종이로 해주면좋을듯합니다
제가 하는 방식입니다....
noprofile
2010.07.18
20:52:47

네!

WD40으로 청소를 해줘야 겠습니다.

noprofile
2010.08.09
13:55:02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profile
2010.09.17
10:45:59

좋은 정보 감사 드림니다   멀리서 안개처럼 뿌려본  WD 40  효과는 좋습니다

닦아내는 수건은 최고로 깨끗한 것이라야 함니다  칫솔은요즘 나온 미세모 50 %마모된것이면 괜찬죠

위 방법도 좋은 방법이긴 하나 오해 하셔서 과 한 물기는 절대 않되는것 아시죠.

가벼운 출사후에  저는  진공 청소기로  붓질  하면서 털어 냄니다   그때 그때

블로워로 부는 방법은 틈새는 자제 합니다  먼지 입자가 틈새로 기어 들어 감니다     wd 40은 정품이여야 함니다

profile
2011.06.01
15:53:42

보일러박사님 보충 설명 유익했습니다

요긴한 내용 감사합니다

profile
2011.12.02
08:31:48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4.03.13
15:57:30

잘 배우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45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촬영 팁] 다중 촬영의 응용 [53] file 2011-10-31 17970 15
44 id: ㅊ ㅓㄹ ㅣ/손상철ㅊ ㅓㄹ ㅣ/손상철 노달 포인트 잡는방법~ [28] file 2018-06-25 6544 15
43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연무가 심할때 어디로 출사를~~? [42] file 2011-02-07 10090 16
42 최홍종 작품사진이란? 좋은 사진은 어떤 사진인가? [5] file 2008-12-18 14406 17
41 id: 새벽바람™새벽바람™ 기상에 관한 이야기(4) - 오메가 현상 [54] file 2010-08-10 12302 17
40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기상상식] 일교차에 의한 안개 발생 - 잘못 이해하는 부분 강조 [61] file 2010-10-27 8230 17
39 id: 엔죠엔죠 사진으로 비교해보는 나만의 누리마루호 쨍한 반영촬영법 [53] file 2011-03-18 20694 17
38 id: 새벽바람™새벽바람™ 이런 때는 공부를...... [59] file 2010-06-30 7802 18
37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사진가의 자세 [61] file 2010-10-26 8862 18
36 id: ㅊ  ㅓ ㄹ ㅣ/손상철ㅊ ㅓ ㄹ ㅣ/손상철 ccd와 cmos의 차이점 [5] 2008-12-29 16327 19
35 김기덕 AF및 MF 촬영에 대하여 [25] 2011-02-17 16910 19
34 사진1장 이야기 [CIS 이미지 센서] 초록색(Green)을 잘 다스리자. [51] file 2014-08-20 10243 19
33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Hyperfocal Distance(과초점거리) 한방에 해결 [29] file 2012-08-23 17471 20
32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기상상식] 대륙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 [23] file 2012-09-24 8147 20
31 浩野 풀프레임? FF? 크롭바디? 명칭에 따른 렌즈의 구분 [3] 2008-11-29 14132 21
30 id: 엠씨우퍼/차영빈엠씨우퍼/차영빈 풍경사진의 핵심. "수평 잡기" [5] 2008-12-19 16191 21
29 꿈샘/夢泉 사진은 셔터의 미학이다-입문 안내 [53] 2011-10-25 8986 21
28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멀티초점을 이용한 stack으로 합성 [44] file 2015-05-04 12504 21
27 darkrain/한현우 인물 사진의 포인트 [33] 2010-11-20 14079 23
26 K a z e [K a z e] 야경촬영 ... 나만의 노하우 [8] 2008-11-26 13134 2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