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및 카메라 관련 강좌를 올리기 위한 공간입니다. 링크나 펌글은 업로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인화시의 결과물을 기둘리고 있습니다.^^

noprofile
아직 서명이 작성되지 않았습니다.
이름 :
바우/장종환
제목 :
인화시의 결과물을 기둘리고 있습니다.^^
조회 수 :
7139
추천 수 :
86 / 0
등록일 :
2008.06.28.11:29:49
웹상에서 본인 작품을 표현할려면 각자 하고싶은 보정법으로 하겠죠^^
최종 마무리는 REsizing 후에 JPG로 올립니다.
뭐 그거야 다 아시는 상식중에 상식이시고요

대형 인화시엔 고품질을 얻고자 하신다면 JPG로 하시면 상당한 손실을 감내해야 할겁니다.
뭐~~ 단체 사진이나 행사사진일 경우엔 JPG로 하셔도 상관없겠죠(4" x 6"...)

그러나 작품 사진을 찍을 경우엔 다르게 편집해야 할겁니다^^
여기서 잠깐 ..!!
Raw 파일은 사진일까요 데이타일까요?
아시는 답이죠..ㅎㅎ 정답은 ??입니다. (즉, 말해서 다이아몬드 원석 쯤 되겠네요^^
                                                       값어치있는 사진을 만들려면 보정자의 실력 또한 만만치 않아야 됩니다.)
작품사진의 인화시 단계로는
1. Raw->간단한 보정을 한다(화벨조정 기타 등등..)
    DPP,Nikon 캡쳐,c1pro, 라이트룸 이용.
    후에.. 16비트 TiFF로 변환후 포토샵으로 넘겨준다.
2. 포토샵에서(작업환경은 SRGB로) 세밀한 작업후에
    여기서 중요.. 최종적으로 웹에서 보내야 할적엔 8비트 jpg로 다단계 리사이즈
                                       인화시엔 8Bit TIFF로 최종 원래 사이즈 유지해서 보내면 됩니다.
단, 거래하는 인화업체에서 tiff로 받아줘야 하는게 관건입니다.

원래 사이즈 기준으로 대충 보니 61메가 수준이더군요(저의 카메라 용량기준입니다.^^) , 반면에 jpg는 12메가 수준입니다.
이걸로 봐도 디테일이 얼마나 떨어지는지 알겠죠?^^

그러면 16비트 TIFF는 어떻냐 ...? 지금 현 기술?로는 안된다는 군요
용량만 봐도 이게 배차이가  납니다.^^ (120메가 되더군요..)
안타깝지만 어쩔수 없나 봅니다.

대형 인화시 정리하자면
RAW로 찍어야 한다.
RAW 는 사진이 아니다 A/D 컨버터(14비트/12비트)에서 만들어지는 데이터이다 입니다.
가공을 해야 한다.
TiFF 8비트로 인화를 해야 한다입니다.
두서 없는 글 적었습니다.
몇자 더 적고 싶으나 작은 애가 오락해야 된다고 목을 맵니다..으휴~~
나중에 생각 나면 다른것도 적어보겠습니다.어예될진 몰겠네요..

감사합니다. ^^ 꾸벅~~

* ㅊ ㅓ ㄹ ㅣ/손상철님에 의해서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08-06-28 13:28)

profile
2012.02.06
14:31:41

정보 감사드립니다

profile
2014.05.29
23:11:21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 두리뭉실한 보정에 대해 자세히 알았습니다. 보정 무척 중요하군요. 그냥 찍어서 DPP로 대충하면 되는걸로 알았는데,

고맙습니다. ^ㅇ^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45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촬영 팁] 다중 촬영의 응용 [53] file 2011-10-31 17971 15
44 id: ㅊ ㅓㄹ ㅣ/손상철ㅊ ㅓㄹ ㅣ/손상철 노달 포인트 잡는방법~ [28] file 2018-06-25 6544 15
43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연무가 심할때 어디로 출사를~~? [42] file 2011-02-07 10091 16
42 최홍종 작품사진이란? 좋은 사진은 어떤 사진인가? [5] file 2008-12-18 14406 17
41 id: 새벽바람™새벽바람™ 기상에 관한 이야기(4) - 오메가 현상 [54] file 2010-08-10 12302 17
40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기상상식] 일교차에 의한 안개 발생 - 잘못 이해하는 부분 강조 [61] file 2010-10-27 8230 17
39 id: 엔죠엔죠 사진으로 비교해보는 나만의 누리마루호 쨍한 반영촬영법 [53] file 2011-03-18 20694 17
38 id: 새벽바람™새벽바람™ 이런 때는 공부를...... [59] file 2010-06-30 7804 18
37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사진가의 자세 [61] file 2010-10-26 8862 18
36 id: ㅊ  ㅓ ㄹ ㅣ/손상철ㅊ ㅓ ㄹ ㅣ/손상철 ccd와 cmos의 차이점 [5] 2008-12-29 16327 19
35 김기덕 AF및 MF 촬영에 대하여 [25] 2011-02-17 16910 19
34 사진1장 이야기 [CIS 이미지 센서] 초록색(Green)을 잘 다스리자. [51] file 2014-08-20 10243 19
33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Hyperfocal Distance(과초점거리) 한방에 해결 [29] file 2012-08-23 17471 20
32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기상상식] 대륙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 [23] file 2012-09-24 8147 20
31 浩野 풀프레임? FF? 크롭바디? 명칭에 따른 렌즈의 구분 [3] 2008-11-29 14132 21
30 id: 엠씨우퍼/차영빈엠씨우퍼/차영빈 풍경사진의 핵심. "수평 잡기" [5] 2008-12-19 16191 21
29 꿈샘/夢泉 사진은 셔터의 미학이다-입문 안내 [53] 2011-10-25 8987 21
28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멀티초점을 이용한 stack으로 합성 [44] file 2015-05-04 12505 21
27 darkrain/한현우 인물 사진의 포인트 [33] 2010-11-20 14079 23
26 K a z e [K a z e] 야경촬영 ... 나만의 노하우 [8] 2008-11-26 13134 25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