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및 카메라 관련 강좌를 올리기 위한 공간입니다. 링크나 펌글은 업로드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름 :
녹운
제목 :
메모리의 배속과 속도 환산
조회 수 :
8518
추천 수 :
9 / 0
등록일 :
2013.01.19.22:12:53
메모리에 전송속도와 배속을 동시에 명기하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전송속도와 저장용량의 기본 단위인데 그냥 아래 배속부분만 참조 하시면 됩니다.
전산에서 사용하는 단위는 이진수,8진수,16진수라 환산 하는데 귀찮습니다..ㅎ
1 byte  = 8 Bit
1 k bit  = 1024  Bit                                                             (2의 10승)
1M bit  = 1024  Bit   * 1024 = 1,048,576 Bit                     (2의 20승)
1G bit  = 1,048,576  * 1024 = 1,073,741,824                    (2의 30승)
1T bit  =  1,048,576 * 1024 * 1024 = 1,099,511,627,776 (2의 40승)
 
1,048,576  bit / 1024 / 8 = 128k byte
1 M bit = 128 k byte 라는 이야기 입니다.

1 배속은(1X) 150k bit 입니다.
시디 장치가 처음  많들어진 초창기 속도를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송 속도가 자꾸빨라지다 보니 몇배속이라고 표기를 하게된것 입니다.
시디롬 몇배속 이라는 이야기는 그 숫자에 150k를 곱하면 전송 성능이 나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메모리 속도를 대략 계산을 해보면
133X 배속 메모리라면 150X * 150k = 22,000K     약  22M 
300X 배속 메모리라면 300X * 150K = 45,000K    약  45M 
600X 배속 메모리라면 600X * 150K = 90,000K    약  90M 
800X 배속 메모리라면 800X * 150K = 120,000K  약120M 

좀더 정확하게 속도 계산을 해보면
600X은 600 * 150 k * 1024 =  92,160,000  을 1M(1048576)로 나누면   87.89 M
800X은 600 * 150 k * 1024 = 122,880,000 을 1M(1048576)로 나누면  117.89 M 
초당 전송 속도 입니다.
 
 
잠간 메모리에 대한 단상 입니다.
제 기준으로 볼때는 메모리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전송 속도, 안정성, AS 라고 생각 합니다.
 
조류등 연사를 중요시 하는 분은 전송 속도가 중요할 거고
풍경위주로 연사를 사용을 잘 안하시는 분은 안정성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빠른 메모리가 필요 할때가 있지만 기왕이면 빠르고 안정성 높은게 좋겠지요
 
간단한 속도 측정 툴을 사용하여 사용하시는 메모리의
성능 측정 툴로 알아 두시면 나쁘지는 않을 것 입니다.
일반적으로 SLC 타입이 속도가 빠르지만 비쌉니다.
 
제가 사용하는 니콘 기준으로 보면
반 셔터 상태시 r11 , r53등 연사시 연속으로 끊김없이 담을수 있는 컷수가 나타 납니다.
즉 연사 버퍼의 용량 입니다.

처음 초기값에서 사용자가 camera의 설정값을 조정하면서  약간 줄어 듭니다.(카메라 메뉴얼에 조건표가 있습니다.)
r53이면 D4의 11연사 기준으로 4초 정도는 버벅거림 없이 연사가가 가능하다는 이야기 입니다.
뭐 XQD 메몰이면 200 연사까지 된다고는 하는데 해보지를 않아서...ㅎ
 
   (사실 한장의 사진이 사이즈가 얼마가 될지는 알수가 없습니다.
   색상정보가 많이 들어가는 경우와 
   배경이 어두운 부분이 많은 경우는 한장의 사이즈라도 현저한 차이가 납니다.
   D800으로 해보니 한장이 2M 짜리도 나오고 80M자리도 나오더군요)

이 컷수 만큼 찍고나면 연사버퍼가 찼기 셔터는 눌러지지 않고(실제는 찍어면서 메로리로 전송이 되겠지요)
메모리로 전송을 하면서 확보되는 버퍼 용량 만큼 셔터가 눌러지지 때문에 
버벅거리기 시작 합니다. 

메모리의 전송속도는
crystaldiskmark toll이나 atto disk 등  디스크 속도 측정 장치로 측정이 가능 한데 
제가 메인으로 사용하는 lexar 800X 32G(미국 이베이에서 직주문하여 $98 불정도)의 경우
read 130M , write 110M 정도가 나옵니다.
소니 xqd의 경우는
read 210M , write 160M 정도가 나온다고 하는데 가격이 안들호메다라...ㄷㄷ

SSD든 HDD나 어떤 메모리 간에 write 속도가 중요 하겠지요...^^
 
간흑 메모리가 깨어지는 경우가 발생이 되는데
메모리 수명 하고는 그닥 관계가 없다고 볼수 있습니다.
제조사는 보통 10 만번 이상을 이야기 하는데
이 회수만큼 사용 하기 전에 보통 교체를 하게 되죠...ㅎ
(더 빠른걸로 아니면 용량 큰걸로...)

요구나 욕구로 새로운 카메라가 나오서 바꾸면 화소사이즈 와 연사가 늘어나고  고용량 과 고속 메모리 가 필요하고
이런 상황을 한두번 반복하면 이번에는 컴퓨터가 버벅 거리기 시작 합니다..
이 상황이 어느 순간(?)까지 반복이 되겠지요....ㅎ
 
메모리 파손은
정전기로 인한 파손이나 컴에 넣고 뺄때 제일 많이 발생 합니다. 
요즈음 같은 겨울철에 모직류 옷을 많이 입는 계절에는 메모리 만지기 전에 손을 다른 곳에 터치하여
몸의 정전기를 방전 시킨다음 만지는게 아주 좋습니다.
반도체 제품은 정전기에 쥐약 입니다.
 
단순한 메모리 장애는 photo recovery , stella 등의 툴로 간단히 복구가 되지만 raw 현상등
아예 인식도 안되는 골치 아픈 경우도 있습니다.
3박4일 걸려 복구한 경우도 있고 아예 포기한 경우도 있습니다... -_-;;

대부분의 불량이 된 메모리는 AS 하는 곳으로  보면 보증기간 내에서는 1:1 맞교환을 해주지만
대작이 들어 있을 것 같은 메모리는 컴퓨터를 잘아는 지인에게 부탁을 하여 잘 해결되면 다행이지만
아니면 복구전문 업체에 맞기면 M당 계산이라 고 상당한 출혈을 요구 할때가 많습니다. 
또 복구업체도 못살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촬영 후 카메라에서 맘에 안드는 사진은 바로 지우시는 분들이 많은데
잘못 지웠을때 복구가 엄청 힘듭니다.
그냥 나중에  PC로 복사 후 지우시면 잘못 지운 것은 쓰레기통에서 바로 복구가 가능합니다.
 
도움이 도시길 바라는 마음에서
생각나는 대로 두서없이 적었네요...ㅎ

profile
2013.01.25
19:17:50

멋진 강좌 잘 읽었습니다.

profile
2013.01.29
19:08:07

수고하신 알찬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3.02.01
10:15:52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3.02.06
12:05:30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3.02.18
11:33:1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3.02.22
22:07:40

수고하신 글잘봤습니다

그런데, 머리가 갑자기 아파오네요...숫자에는 쥐약이라...ㅎ...죄송...

틈틈히 익혀나갈께요~~

noprofile
2013.02.23
18:24:13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3.05.20
13:35:09
감사해요
좋은정보
profile
2013.06.05
12:13:58

알찬 강좌 감사합니다.

profile
2013.09.20
07:52:32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
2014.03.13
17:56:55

좋은 정보 잘 배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글쓴이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165 id: Ken / 윤상혁Ken / 윤상혁 나만의 일출 촬영 요령[푸른솔님 강좌 펌] [11] 2008-02-18 25756 275
164 id: ㅊ  ㅓ ㄹ ㅣ/손상철ㅊ ㅓ ㄹ ㅣ/손상철 야경사진을 잘 찍을려면~~ [56] file 2007-12-25 25091 173
163 浩野 입문자를 위한 조리개의 설명 [17] file 2007-12-24 16642 150
162 바우/장종환 사진 테크닉 [3] 2008-05-13 17443 121
161 浩野 화이트밸런스와 계조의 관계 [3] file 2008-06-18 14282 109
160 바우/장종환 디지털 카메라(DSLR)는 왜 탄생되었는가? ^^ [7] 2008-06-28 10452 87
159 바우/장종환 인화시의 결과물을 기둘리고 있습니다.^^ [2] 2008-06-28 7135 86
158 id: 엔죠엔죠 해운대 마천루/ 해운대 마린시티 촬영 기법 [71] file 2011-01-10 12917 69
157 id: 엔죠엔죠 부산불꽃축제 명당 안내 및 부산불꽃축제 백배 즐기기 [69] file 2010-10-14 20762 69
156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초보강좌] 가창오리 군무 촬영 요령 [78] file 2013-02-17 16440 59
155 사진1장 이야기 메모리카드 수명에 관한 이해 [69] file 2011-03-13 23665 52
154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근,원경 초점 맞추기(Hyperfocal Distance구하기) - 피사계심도 깊은 사진 찍기 [100] 2010-11-02 35460 52
153 RedWolf/김형 [출사코리아] 광안대교 촬영포인트 섭자리 사진강좌. [4] file 2008-09-24 10073 41
152 사진한장 이야기 [장노출] ND 필터 조합과 노출시간 정하기 [54] file 2020-07-05 5168 39
151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초보자만 참고] 사진을 보는 습관 [96] 2010-09-10 11383 38
150 RedWolf/김형 [출사코리아] 광안대교 촬영포인트 약수암 사진강좌. [3] file 2008-09-25 9914 38
149 꿈샘/夢泉 DSLR과 접사- 초보님들을 위한 안내 [56] 2011-05-31 16892 32
148 id: 새벽바람™/임헌용새벽바람™/임헌용 [초보강좌] "사진은 뺄셈"이라는데............. [79] file 2011-05-11 12407 32
147 darkrain/한현우 일출, 일몰 촬영법-처음 사진 시작하시는 분에게만 [52] 2010-11-17 25621 31
146 id: 엔죠엔죠 부산불꽃축제 사진촬영기법 [39] file 2012-10-28 20425 29






XE Login